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aeHzx/btslTUq3PMS/ShuvqmBWpTN8ODOJIoT2vK/img.png)
찾아도...찾아도~ 정보는 나오지를 않고 너무 폐쇄적인거아닌가 싶어서
저라도 공부한 내용을 공유하면 누군가 보고 공부에 도움이 되지않을까 !!!
해서 조금씩 적어보려고합니다.!
오늘은
"초본의 생활환"
우선 생활환이란 ?!
식물 종자 -> 발아 -> 영양생장(줄기,잎,뿌리형성) -> 생식생장(화아분화,개화,결실,종자)
순서로 생식생장에서 종자가 다시 발아하고 다시 영양생장을 거쳐 생식생장으로
돌고돌고 도는 식물의 일생싸이클!!
초본식물의 생활환
겨울의 내한성 정도에 따라 생장 반응을 나타낸다.
1. 일년초
지상부ㅡ 지하부 모두 1년이내에 모든 영양 및 생식생장 즉 생활환을 마치는 것으로
생육기간이 1년이하이거나 생활환이 1년주기로 반복되는 것을 의미합니다.
파종시기에 따라 춘파종, 추파종으로 나뉘게 됩니다.
-춘파종 : 여름,가을에 꽃을 피우며, 고온에서 잘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
주로 열대, 아열대 원산으로 노지에서 춘파 3월하순 ~ 4월하순
ex) 봉선화, 아프리칸봉선화, 맨드라미, 메리골드, 해바라기 등
-추파종 : 봄과 초여름에 꽃이 피며, 서늘한 조건에서 잘자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
주로 온대지방 원산으로 추파는 8월하순 ~ 9월 중순
내한성ㅇ ㅣ강해서 지상부가 살아남는 경우도 있으며, 추파일년초는 로제트(rosette)형태로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에 꽃을 피웁니다.
ex) 데이지, 팬지, 프리뮬러, 시네라리아, 안개꽃, 양귀비, 금어초, 금잔화등
***로제트 : 지면에 퍼진 잎의 모양이 장미꽃 조각처럼 샌깅데서 유래
ex) 민들레, 제비꽃, 앵초, 맥문동, 바위취, 배추 등
2. 2년초
종자에서 발아한 풀이 월동하여, 이듬해 봄에서 가을에 개화,결실을 하는 것
월년생 초본식물 - 두해살이 풀
추파일년생 초화류 보다 다소 내한성이 강한종류
파종 후 싹이 터서 한해 겨울을 넘긴 이듬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.
장일 조건에서 개화 촉진 ,종자번식
ex) 석죽, 종꽃, 접시꽃, 디기탈리스, 색양배추, 스토크 등
3. 숙근초(다년초)
지상부는 다 시들고 죽으나, 지하부는 여러해를 거쳐 생존하는 것으로
일생동안 몇차례 이상 개화 결실을 하는 것.
-노지숙근초 : 온대, 아한대 지역 자생식물을 개량한 것으로
내한성이 강하며, 노지에서 월동이 가능한 특징이있다.
대부분 정원의 화단용으로 이용됩니다.
ex) 매발톱꽃, 금계국, 패랭이꽃, 금낭화, 꽃잔디, 원추리, 옥잠화, 아이리스(붓꽃) 등
-반노지 숙근초 : 온대원산, 내한성이 비교적 약하다.
겨울에 짚을 덮어주거나, 온실에서 월동한다.
용도는 화단,화분,절화용으로 이용됩니다.
ex) 국화
-온실 숙근초 : 열대나 아열대 원산, 내한성이 약하다.
온실 내에서 재배, 연중 오실에서 개화
용도는 주로 화분,절화용으로 이용됩니다.
ex) 구근베고니아, 거베라 ,제라늄, 아프리칸바이올렛, 군자란, 숙근안개초, 칼랑코에, 아스파라거스, 마가렛데이지 등
#화훼장식기사이론 #화훼품질유지론 #화훼품질유지관리론 #화훼장식기사시험 #화훼장식기사필기시험 #화훼장식시가필답형준비 #필답준비 #화훼기사필답 #기사필답문제 #화훼장식기사필답 #숙근초 #생활환 #일년초 #춘파종 #추파종
'좋아하는 것들 > 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화훼장식기사 필답기출문제. (2) | 2023.10.07 |
---|---|
화훼장식기사 필답형 2005년 기출문제 (0) | 2023.07.19 |
댓글